원추리(day lily)
원추리(day lily)는 백합과의 원추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원추리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봄철의 어린 순은 나물(훤채)로 사용하고, 뿌리는 훤초근(萱草根)이라 하여 약으로 쓰입니다. 보고 있으면 근심을 잊는다하여 망우초(忘憂草)라고도 부릅니다. 꽃은 하루만에 피었다가 지기때문에 영어로 day lily라고 합니다. 학명 Hemerocallis fulva.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외떡잎식물 목: 백합 과: 백합 속: 원추리 종: 원추리 종류 각시원추리, 노랑원추리, 섬원추리, 왕원추리, 골잎원추리, 애기원추리 등다른 이름 넘나물, 망우초(忘憂草:근심을 잊게하는 풀), 누두과(漏斗果), 지인삼(地人蔘), 황색채근(黃色菜根), 익남초(益男草) 원산지 동아시아(한국, 중국) 꽃말 기다리는 마음..
더보기
나팔꽃(喇叭꽃: Morning glory)
나팔꽃(Morning glory)은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풀입니다. 나팔꽃은 꽃이 피었을 때에 나팔같은 모양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며, 외래종으로 우리나라 자생종인 메꽃에 비하여 꽃의 색상이 다양하고 화려합니다. 한해살이 덩굴풀로 씨앗으로 번식하고, 씨앗을 심을 때에 껍질에 상처를 내어 파종을 하면 흡수가 잘되어 발아가 잘된다고 합니다. 잎은 트럼프카드의 하트/스페이드 모양입니다. 종류에 따라서는 잎이 세갈래로 깊게 패여 나누어집니다. 학명 Pharbitis nil (L.) Choisy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가지 / 통화식물 과: 메꽃 속: 나팔꽃 종: 나팔꽃 종류 미국나팔꽃, 애기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다른 이름 견우화, 조양화, 조안, 견우자, 백축, 흑축, 라팔화 원산지 인..
더보기
메꽃(bindweed)
메꽃(bindweed)은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입니다. 메꽃은 어린 시절부터 시골에서 많이 보고 왔던 통꽃입니다. 메꽃이 나팔꽃인줄 알고 있었는 데, 메꽃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꽃이고, 나팔꽃은 외래종이라고 하네요. 나팔꽃에 비하여 꽃이 화려하지 않지만 더 정감있는 꽃인 것 같습니다. 학명 Calystegia japonica(THUNB). CHOIS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가지 / 통화식물 과: 메꽃 속: 메꽃 종: 메꽃(개별 메꽃종류...) 종류 메꽃,큰메꽃,선메꽃,애기메꽃,갯메꽃, 흰큰메꽃,서양메꽃,아욱메풀(아욱메꽃) 다른 이름 고자화, 선화, 선복화, 돈창초, 미화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꽃말 충성, 속박, 수줍음 메꽃은 꽃이 핀 후에 씨가 잘 열리지 않아서..
더보기
참나리(Tiger lily)
참나리(Tiger lily)는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참나리는 수많은 나리 종류 중에서 꽃이 크고 아름다워 '진짜 나리'라는 뜻으로 참나리라 부릅니다. 점이 많아 마치 호랑이 무늬같아서 영어로는 tiger lily라고 합니다. 번식은 가지에 검은색 구슬모양의 살눈(주아: 珠芽 : bulbil)이 땅에 떨어져 발아하여 번식합니다. 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외떡잎식물 목: 백합 과: 백합 속: 백합 종: 참나리 다른 이름 참나리, 호피백합, tiger lily, 알나리, 나리,호랑나리,권단,야백합,견내리화,대각나리 원산지 한국 꽃말 순결, 깨끗한 마음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 강원도 춘천시 남이섬 강원도 춘천시 ..
더보기
삼색제비꽃, 팬지(pansy)
삼색제비꽃(팬지, pansy)은 제비꽃과의 풀입니다. 삼색제비꽃은 봄에 꽃길용으로 화단이나 화분에 많이 재배되는 꽃입니다. 학명 Viola tricolor L. var hortensis DC.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제비꽃 과: 제비꽃 속: 제비꽃 종: 삼색제비꽃 다른 이름 나비꽃, 인면화, 귀면화, 고양이얼굴꽃 원산지 유럽 꽃말 나를 생각해 주세요, 사색, 사랑의 추억 삼색제비꽃의 꽃말은 "생각하다"라는 프랑스어인 "팡세: penser"에서 나온말로 "나를 생각해 주세요." 입니다. 삼색제비꽃(팬지, pansy)는 꽃의 크기도 다양하고, 색상도 노랑, 흰색, 자주색, 빨강색 등 다양합니다.
더보기
접시꽃(hollyhock)
접시꽃(hollyhock)은 아욱과 접시꽃속의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접시꽃은 꽃이 접시처럼 매우 커서 접시꽃이라고 부릅니다. 씨를 뿌려 파종하며 첫 해에는 꽃이 피지 않고 다음 해부터 꽃이핍니다. 꽃만 보면 모양이 마치 무궁화랑 비슷해보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고 꽃의 색깔은 다양하며 홑꽃과 겹꽃이 있습니다. 학명 Althaea rosea (L.) Cav.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아욱 과: 아욱 속: 접시꽃 종: 접시꽃 다른 이름 덕두화(德頭花), 덕중화, 접중화, 촉규(蜀葵), 촉규화(蜀葵花), 규화, 황촉화(黃蜀花), 황촉규, 일일화(一日花), 층층화(層層花), 촉계화, 단오금 원산지 중국 꽃말 단순, 편안, 다산, 풍요 접시꽃은 키가 2m 이상 자라고..
더보기
초롱꽃, 섬초롱꽃(bellflower)
초롱꽃, 섬초롱꽃(bellflower)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초롱꽃은 꽃의 모양이 호롱(초롱)모양이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섬초롱꽃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꽃이며, 금강초롱꽃은 우리나라의 중부지역(경기도, 강원도)에서 자생합니다. 섬초롱꽃 - 서울 노원 학명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ca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국화 과: 초롱꽃 속: 초롱꽃 종: 초롱꽃/섬초롱꽃/금강초롱 종류 초롱꽃, 섬초롱꽃, 금강초롱꽃, 자주초롱꽃 다른 이름 종꽃, 자반풍령초, 풍령초, 행엽채 원산지 한국 꽃말 감사, 성실, 충성 초롱꽃 - 서울 노원 자주초롱꽃 - 서울 노원 섬초롱꽃 - 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