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石上菜: stonecrop)
돌나물은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장미 과: 돌나물 속: 돌나물 종: 돌나물 다른 이름 반지련(半支蓮), 불지갑(佛指甲), 석지갑(石指甲), 수분초(垂盆草), 돈나물, 석상채(石上菜), stonecrop 원산지(분포) 아시아 (우리나라, 중국, 일본) 꽃말 근면 돌나물의 효능으로는 생즙은 간경화에 효과가 있고, 욕증진, 타박상, 볼거리,해독, 간염.등에도 약용사용됩니다.꽃모양은 돌나물속의 기린초와 비슷합니다. 참고자료: [자연/식물] - 기린초(麒麟草) [자연/식물] - 기린초(麒麟草)
더보기
해바라기(Sunflower)
해바라기는 국화과의 해바라기속의 한해살이풀입니다. 학명 Helianthus annuus L.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국화 과: 국화 속: 해바라기 종: 해바라기 다른 이름 규화(葵花), 향일규(向日葵), 해바래기, sunflower, 향일화(向日花) 원산지(분포) 중앙아메리카 꽃말 당신을 바라봅니다. 숭배, 기다림. 해바라기는 약 2,000~3,000년 전부터 북미 인디언이 식량작물로 해바라기를 재배하기 시작한 이후, 콜럼부스의 신대륙 발견을 통해 1510년 스페인으로 건너갔고, 1600년대 후반에 러시아 땅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러시아인의 노력에 의해 지름 30cm가 넘는 거대한 해바라기의 육종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해바라기는 러시아(소련), 페루의 국화입니다. 그리스로마 ..
더보기
박주가리
박주가리는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입니다. 학명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용담목 과: 협죽도 속: 박주가리 종: 박주가리 다른 이름 세사등(細絲藤), 고환(苦丸), 교등(交藤), 나마(蘿藦), 환란(芄蘭), 구진등(九眞藤), 박조가리, 노아등, 뢰과, 비래학, 학광표라마자, 라마, 비학래, 노괄표 원산지(분포) 아시아(한국, 중국, 일본) 꽃말 먼 여행 박주가리의 어린 열매는 먹을 수 있습니다. 껍질과 속을 통째로 먹어도 됩니다. 박주가리의 잎을 따면 하얀 진액이 나오는 데, 이 하얀 진액은 독이 있으므로 많이 먹으면 안됩니다. 열매가 터졌을 때에 흰 깃털에 메달린 씨앗을 보면 왜 꽃말이 "먼 여행"인지를 알..
더보기
명자나무, 산당화(山棠花: flowering quince)
명자나무(flowering quince)은 장미과 명자나무속의 낙엽 관목입니다. 명자나무(flowering quince)는 어린시절에 동네의 산에서 올라가면 피어 있던 꽃인데, 그 꽃을 따서 꽁무니를 깨물면 꿀맛이 나는 추억의 꽃입니다. 요즘은 서울도 화단이나 울타리로 많이 심어져 있습니다. 학명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또는 Chaenomeles lagenaria(Loisel.) Koidz 분류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장미 과: 장미 속: 명자나무 종: 명자나무 다른 이름 아가씨꽃, 애기씨꽃, 각시꽃, 명자꽃, 명자나무, 산당화(山棠花), 자주해당, 당명자나무 flowering quince, Japanese Quince원산지 중국 꽃말 평범,..
더보기
방풍나물(防風나물:Japanese Hogfennel)
방풍나물(防風나물:Japanese Hogfennel)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풍을 예방한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진 방풍나물(갯기름나물)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쌉싸름한 맛을 이용한 식재료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방풍은 원방풍, 갯방풍, 식방풍의 3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식방풍은 발한, 해열, 진통의 효능이 있습니다. 방풍나물의 어린 순은 식감이 좋고 향긋한 맛을 지녀 나물로 조리해먹고, 뿌리는 진통, 발열, 두통, 신경마비 등을 완화하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방풍나물은 4월에 나는 어린 순을 채취해서 식용하는 것이 가장 맛이 좋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생선 등 해산물과 먹으면 궁합이 좋습니다. 자양강장효능이 있으며, 비염이나 천식 같은 호흡기질..
더보기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은 양귀비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입니다. 양귀비(楊貴妃)라는 이름은 중국 당나라 현종의 후궁이자 최고의 미인이었던 양귀비에 비길 만큼 꽃이 아름답다 하여 지어진 명칭으로 우리나라만 양귀비라고 부릅니다. 줄기에 털이 없으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이용됩니다. 학명 Papaver somniferum 분류 계: 식물 문: 속씨 식물 강: 쌍떡잎 식물 목: 양귀비 과: 양귀비 속: 양귀비 종: 양귀비 다른 이름 앵속각(罌粟殼), 속각(粟殼), 어미각(御米殼), 앵속(罌粟), 약담배, 아편꽃, 미낭화, 아부용 양고미(陽古米), 양고미(羊古米), 어미(御米), 상곡(象谷), 미낭(米囊), 낭자(囊子) 원산지 지중해 연안 꽃말 위안, 잠(백색..
더보기